본문 바로가기
떠나요

혼자 떠난 여행을 글로 쓰는 법 - 감성 여행 에세이 작성법

by 기자j 2025. 4. 16.

혼자 떠난 여행. 혼행은 일정도 자유롭고, 풍경도 좋지만, 무엇보다도 감정이 더 진하게 남는 여행입니다.

그런 혼자만의 여행을 글로 남기고 싶을 때, 단순한 후기보다는 감성을 담은 여행 에세이 스타일로 기록해보는 건 어떨까요?

이번 글에서는 혼행 후 여행 에세이를 처음 써보는 분들을 위한 글쓰기 가이드를 소개합니다. 꼭 작가가 아니어도 괜찮아요. 여행지의 공기와 내 마음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글쓰기면 충분합니다. 😊

1. 여행 에세이는 '정보'보다 '느낌'입니다

후기성 블로그와 여행 에세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의 비중입니다. 에세이는 장소를 나열하거나 평가하기보다는, 그 장소에서 내가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에 초점을 둡니다.

예시:
❌ “경주는 볼 게 많고, 황리단길도 괜찮았다.”
✅ “경주의 황리단길. 오후의 햇살이 기와지붕을 부드럽게 덮고 있었고, 나는 그 길 위에서 혼자 걷는 게 꽤 괜찮다고 생각했다.”

👉 나만의 시선과 표현이 들어가면 읽는 이도 그 감정에 공감하게 됩니다.

2. 중심은 ‘하나의 장면’으로

에세이는 ‘전체 여행 요약’보다는 하나의 장면 또는 순간에 집중할수록 깊이가 생깁니다.

  • 버스 창가에 앉아 들었던 노래
  • 노을진 바다에서 마셨던 커피 한 잔
  • 걷다가 마주친 고양이와의 눈맞춤

📌 하나의 장면만 제대로 써도 훌륭한 여행 글이 됩니다.

3. ‘감각의 언어’를 사용하세요

눈으로 본 것만 쓰지 말고, 소리, 냄새, 촉감, 온도까지 글 속에 넣어보세요.

  • 👂 “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 소리가 너무 조용해서 오히려 귀를 막고 싶었다.”
  • 👃 “미조항의 아침 공기는 짠내보다 비린내가 먼저였다.”
  • 🖐 “돌담에 손을 대니 햇살에 데워진 온기가 느껴졌다.”

👉 오감을 표현하면 독자는 그 공간을 함께 경험하게 됩니다.

4. ‘나’라는 화자를 자연스럽게 드러내기

여행 에세이의 화자는 대부분 ‘나’입니다. 하지만 “나는 ~했다”의 반복은 지루할 수 있어요. 간접적인 자기 묘사를 활용해보세요.

  • “커피를 두 번째 리필했다. 여행 중 처음으로 머리가 맑아졌다.”
  • “말을 걸까 말까 고민하다가 그냥 지나쳤다.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다.”

📌 글 속의 ‘나’가 독자에게 말을 걸듯 다가오면 훨씬 매력적인 에세이가 됩니다.

5. 에세이 문단 구성 팁

에세이는 포멀한 보고서가 아니기 때문에 자유롭게 써도 되지만, 아래처럼 **3단 구성**으로 쓰면 흐름이 좋아집니다.

① 도입 – 시작의 느낌

  • “그날, 나는 아무 이유 없이 바다로 향했다.”
  • “비가 오는 도시에서는 혼자 걷기 좋다.”

② 본문 – 감정의 묘사

  • 풍경 + 내면 + 회상
  • 정적 속 대사, 스스로의 말 등도 활용

③ 마무리 – 여운 남기기

  • “여행은 끝났지만, 나는 아직 그 골목에 머물러 있다.”
  • “그 도시의 향기는 여전히 내 가방 속에 있다.”

📌 끝맺음이 인상적이면 에세이 전체가 기억에 남습니다.

6. 여행 에세이 플랫폼 추천

  • 브런치: 감성 글쓰기 대표 플랫폼, 작가 등록 시 에디터 노출 기회
  • 티스토리 블로그: 개인화된 검색 유입 가능
  • 인스타그램 노트/릴스와 연동: 짧은 문장 + 사진으로 감성 포스팅
  • 에세이 책 제작: 탈잉, 클래스101, 북드림에서 1인 출간 지원

📚 작은 기록이 모이면, 언젠가 한 권의 책이 될 수도 있어요.

마무리

혼자 떠난 여행은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. 하지만 그 기억을 글로 남길 때 비로소 나만의 ‘여정’이 됩니다.

꼭 멋진 문장일 필요도, 완벽한 구성일 필요도 없습니다. 당신의 언어로 당신의 여행을 쓴다는 것, 그 자체가 가장 큰 가치입니다.

오늘부터 한 문장씩, 당신의 혼행을 글로 꺼내보세요. 누군가의 마음에 닿을지,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요. ✍️